맨위로가기

대한민국 헌법 제8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헌법 제8호는 1972년 12월 27일 공포되어 시행된 헌법으로,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이후 박정희 정부에 의해 개정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대통령 간선제, 국회의원 1/3 대통령 추천, 국회 권한 축소, 긴급조치권 부여, 대통령 임기 연장 및 연임 제한 철폐 등이 있다. 유신헌법은 박정희의 장기 집권과 독재를 위한 도구였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위헌 논란과 기본권 제약, 자주 국방을 명분으로 한 정권 연장 시도 등의 영향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대한민국 - 10월 유신
    10월 유신은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비상 조치로, 국회 해산, 헌법 정지, 유신헌법 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고 사실상 종신 집권을 가능하게 한 체제이다.
  • 1972년 대한민국 - 7·4 남북 공동 성명
    7·4 남북 공동 성명은 1972년 대한민국과 북한이 최초로 통일 원칙에 합의한 공동 성명으로,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의 3대 원칙을 제시했으나 해석 차이와 체제 강화 이용으로 한계점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대한민국의 헌정사 -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는 2004년 국회에서 가결되었으나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되어 대통령 직무가 복귀되었으며, 대한민국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 대한민국의 헌정사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는 2024년 12월 14일 국회에서 가결된 탄핵소추안으로,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거쳐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통해 최종 결정된다.
대한민국 헌법 제8호
개요
명칭대한민국 헌법
약칭유신헌법
종류헌법 제8호
제정1972년 12월 27일, 전부 개정
상태1980년 10월 27일, 전부 개정
분야공법
관련대한민국 헌법의 역사
원문대한민국 헌법 8호
주요 내용
내용국민의 기본적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 침해 불가능 규정 삭제
대통령 간선제
대통령의 긴급조치권·국회해산권 및 국회의원 3분의 1과 법관 전부에 대한 임명권 규정
유신 체제
한글유신체제
한자維新體制
히라가나いしんたいせい
가타카나ユシンチェ제

2. 역사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국토 분단 이후 최초로 통일과 관련하여 합의한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3개월여가 지난 1972년 10월 17일, 당시 대통령 박정희대통령 특별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에서 박정희는 "조국의 평화 통일을 지향하는 헌법개정안"을 10월 27일까지 공고하겠다고 밝히며, 10월 21일에는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이후 10월 27일에 헌법개정안이 공고되었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지 한 달이 지난 11월 21일,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단의 감시 하에 헌법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선거관리위원회 참관인이 유신헌법을 절대적으로 지지하는 인물들로 구성되는 등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투표가 진행되었다. 투표 결과, 유권자의 91.9%가 참여하여 91.5%라는 압도적인 찬성률로 헌법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이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유신헌법은 12월 27일공포되어 시행되었다.

하지만 유신헌법에 대한 비판은 끊이지 않았고, 이에 박정희 정권은 1975년에 유신헌법과 대통령에 대한 신임을 묻는 국민 찬반투표를 다시 실시했다. 2월 12일에 실시된 이 국민투표에서는 투표율 80%, 찬성률 73%를 기록했다.

시간이 흘러 2012년 9월 24일, 당시 새누리당 대통령 선거 후보였던 박근혜는 "5ㆍ16과 유신, 인혁당 등은 헌법 가치가 훼손되고 대한민국의 정치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인정하며, "상처와 피해를 입은 분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국민대통합위원회를 설치해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9월 29일, 국회에서는 정청래 의원이 대표로 나서 민주통합당 의원 20명과 통합진보당을 탈당한 무소속 강동원 의원 등 총 21명과 함께 유신헌법 무효 결의안을 발의했다. 그러나 이 결의안은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 결국 폐기되었다.[2]

3. 내용


  • 대통령 직선제 폐지 및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접 선거 실시.
  • 국회의원의 3분의 1을 대통령이 추천하고,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된 국회의원의 임기를 3년으로 규정.
  • 국회의 연간 개회일 수를 150일 이내로 제한하고, 국회의 국정감사 권한을 폐지함.
  • 대통령에게 헌법 효력까지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조치권을 부여.
  • 대통령에게 국회 해산권 및 모든 법관 임명권을 부여하여, 대통령이 3권 위에 군림할 수 있도록 보장.
  • 대통령 임기를 6년으로 연장하고, 연임 제한 규정을 철폐하여 사실상 종신 집권이 가능하도록 함.
  • 부칙을 통해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국회 해산 및 헌법 정지의 비상조치에 대해 소송이나 이의를 제기할 수 없도록 규정.
  • 부칙에서 헌법에 따른 지방의회조국통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구성하지 않도록 규정.

4. 비판

유신헌법박정희의 장기 집권과 독재 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였다는 비판이 지배적이다.

정치학계에서는 유신헌법과 그 체제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는 "장기 집권용 유신 체제는 박 전 대통령이 심복이던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총탄에 쓰러지기 전에 스스로 출구를 찾기 어려운 체제였다"고 지적했다.[3] 임지봉 교수는 유신헌법을 "헌정사에서 제외해야 할 헌법의 진공상태"로 규정하며, 전후 독일이 나치 헌법을 무효화했듯 국회가 유신헌법 무효 선언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정치학자 박명림은 유신체제를 "법치를 부인하고, 입법부와 국민 주권을 부정했으며, 권력자(박정희)를 법과 제도 아래 두는 공화국 원리를 부정한 세계사적으로도 극히 드문 헌정 파괴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3][4]

개헌 과정 자체의 위헌성도 지적되는데, 박명림은 유신헌법 개정 절차가 국회의원 3분의 2 이상의 의결을 규정한 당시 제3공화국 헌법을 위반했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무효라고 주장했다.[3][4]

내용적으로도 유신헌법은 국민의 기본권을 심각하게 제약했으며, 대통령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간접 선출하도록 하고, 대통령에게 국회의원 3분의 1(유신정우회) 추천권과 국회 동의 없는 긴급조치권을 부여하는 등 삼권분립 원칙을 훼손하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을 집중시켜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3][4]

1969년 닉슨 미국 대통령이 닉슨 독트린을 발표하고 아시아 주둔 미군 철수 계획을 밝힌 이후, 1971년에는 실제로 주한 미군 제7보병사단이 철수했다.[5] 이러한 안보 환경 변화 속에서 박정희가 '자주국방'을 명분으로 내세워 유신헌법을 제정하고 정권 연장을 꾀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훗날 당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였던 박근혜2012년 9월 24일, "5ㆍ16과 유신, 인혁당 등은 헌법 가치가 훼손되고 대한민국의 정치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인정하며 관련 피해자들에게 사과했다.[2] 같은 해 9월 29일, 민주통합당 정청래 의원을 포함한 21명의 국회의원이 유신헌법 무효 확인 결의안을 발의했으나,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 회기 만료로 폐기되었다.[2]

참조

[1] 문서 1980년대 이후 일본의 일부 연구자들의 의문 제기 및 池明観의 자백
[2] 웹사이트 ‘유신헌법 무효 결의안’과 ‘80년 언론 특별법’ 통과될까? http://www.mediatoda[...]
[3] 뉴스 유신헌법은 무엇이었나… 초헌법적 긴급조치, 삼권분립 부정, 세계사적 ‘헌정 파괴’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8-31
[4] 뉴스 https://newslibrary.[...] 1972-09-07
[5] 뉴스 https://newslibrary.[...] 1971-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